일하는 사람이 행복한 서대문구를 만들어 갑니다

  • 로그인

서대문구 근로자복지센터

서대문구 근로자복지센터

  • 센터소개
    • 센터소개
    • 인사말
    • 연혁
    • 찾아오시는 길
  • 주요사업
    • 조사연구사업
    • 노동법률상담 및 지원
    • 노동교육 및 법률교육
    • 노동문화사업
    • 노동복지사업
  • 알림마당
    • 공지사항
    • 센터뉴스
    • 자료실
  • 행사안내
  • 노동상담
    • 상담안내
    • 노동상담
    • 노동권리상식
  • 로그인

알림마당

  • 공지사항  
  • 센터뉴스  
  • 자료실  

체불임금 해결방법: 고용노동부 신고

체불임금 해결방법: 고용노동부 신고

센터 47712
센터 2017-09-19 47712

체불임금 해결방법: 고용노동부 신고

사용자가 임금을 체불할 경우 사업장 소재지 관할 고용노동청에 신고(진정 및 고소)할 수 있습니다.

 

○ 고용노동청에 임금체불을 신고하면 민사소송보다 간편하고, 빠른 시일내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경우라면 1~2개월 내에 체불임금 해결 가능함.
  •  

    ○ 사용자와 분쟁이 두려워 용기가 나지 않을 때, 고용노동청 신고 전에 상담 받고 싶을 경우에는 서울시 무료상담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시민명예노동옴부즈만, 노동복지센터 등
  •  

    ○ 임금체불이 해결되기 전에 임금체불·진정·고소를 취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진정: 밀린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해 달라는 요구
  • 고소: 사용자를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해 달라는 요구
  •  

    ◈ 처리절차

    ① 임금체불 해결에 필요한 자료들을 준비하고, 사용자에게 임금 지급을 요구합니다.

    [필요한 자료]

  • 임금체불 준비자료: 임금지급명세서(임금봉투), 급여통장 사본 등
  • 사업주 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사업장 소재지(상시 근로자수 등)
  • 기타 유용한 자료: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단체협약서 
  • ② 고용노동부(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신고(진정·고소)합니다.

    - 노동청의 업무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01 임금체불 신고: 노동지청 직접 방문, 인터넷, 우편, 팩스 등으로 신고 가능

    [인터넷 신고 방법]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http://www.moel.go.kr) → 민원마당 → 민원서식 → 검색난에 ‘임금체불 진정서’ 입력 → 신고서 입력 및 제출  

    02 사실관계 조사: 근로감독관이 임금체불 경위 및 지급시기 등 조사

  • 근로감도관이 작성한 조사결과보고서를 잘 확인하고, 잘못된 내용은 수정해 달라고 요구해야 함
  •  

    03 체불임금 확정 및 시정지시 : 체불임금 확정시, 사용자에게 임금 지급 지시

  •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하고, 근로자가 신고 취하시 종료
  •  

    04 시정지시 거부시 검찰 송치: 사용자가 체불임금 미지급시, 수사결과 검찰에 송치

  • 근로감독관이 법 위반행위(임금체불)를 수사하고, 수사결과를 담당 검사에게 보냄
  •  

    ③ 검찰에서 수사 및 재판을 통해 근로기준법 위반 (임금체불)을 확정하고, 확정된 체불임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사업주는 형사처벌을 받습니다.

    Q. 노동지청에서 체불된 임금의 지급을 명령했음에도 사업주가 지급을 하지 않아 검찰로 사건이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형사처벌을 해도 체불임금을 못 받을 수 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A. 형사절차는 벌을 위반한 상대방을 처벌하는 절차이며, 체불된 임금을 주도록 하는 절차는 아닙니다. 다만, 형사처벌을 위해 사용자를 입건하고 수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체불임금 지급을 권유하거나, 사용자의 근로자와의 합의를 통해 체불 임금을 지급받는 호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사업주가 형사처벌에도 불구하고 임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근로자는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체불임금 해결방법: 고용노동부 신고

    사용자가 임금을 체불할 경우 사업장 소재지 관할 고용노동청에 신고(진정 및 고소)할 수 있습니다.

     

    ○ 고용노동청에 임금체불을 신고하면 민사소송보다 간편하고, 빠른 시일내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경우라면 1~2개월 내에 체불임금 해결 가능함.
  •  

    ○ 사용자와 분쟁이 두려워 용기가 나지 않을 때, 고용노동청 신고 전에 상담 받고 싶을 경우에는 서울시 무료상담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시민명예노동옴부즈만, 노동복지센터 등
  •  

    ○ 임금체불이 해결되기 전에 임금체불·진정·고소를 취하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진정: 밀린 임금을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해 달라는 요구
  • 고소: 사용자를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해 달라는 요구
  •  

    ◈ 처리절차

    ① 임금체불 해결에 필요한 자료들을 준비하고, 사용자에게 임금 지급을 요구합니다.

    [필요한 자료]

  • 임금체불 준비자료: 임금지급명세서(임금봉투), 급여통장 사본 등
  • 사업주 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사업장 소재지(상시 근로자수 등)
  • 기타 유용한 자료: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단체협약서 
  • ② 고용노동부(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신고(진정·고소)합니다.

    - 노동청의 업무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01 임금체불 신고: 노동지청 직접 방문, 인터넷, 우편, 팩스 등으로 신고 가능

    [인터넷 신고 방법]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http://www.moel.go.kr) → 민원마당 → 민원서식 → 검색난에 ‘임금체불 진정서’ 입력 → 신고서 입력 및 제출  

    02 사실관계 조사: 근로감독관이 임금체불 경위 및 지급시기 등 조사

  • 근로감도관이 작성한 조사결과보고서를 잘 확인하고, 잘못된 내용은 수정해 달라고 요구해야 함
  •  

    03 체불임금 확정 및 시정지시 : 체불임금 확정시, 사용자에게 임금 지급 지시

  • 사용자가 임금을 지급하고, 근로자가 신고 취하시 종료
  •  

    04 시정지시 거부시 검찰 송치: 사용자가 체불임금 미지급시, 수사결과 검찰에 송치

  • 근로감독관이 법 위반행위(임금체불)를 수사하고, 수사결과를 담당 검사에게 보냄
  •  

    ③ 검찰에서 수사 및 재판을 통해 근로기준법 위반 (임금체불)을 확정하고, 확정된 체불임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사업주는 형사처벌을 받습니다.

    Q. 노동지청에서 체불된 임금의 지급을 명령했음에도 사업주가 지급을 하지 않아 검찰로 사건이 넘어갔습니다. 그런데 형사처벌을 해도 체불임금을 못 받을 수 있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A. 형사절차는 벌을 위반한 상대방을 처벌하는 절차이며, 체불된 임금을 주도록 하는 절차는 아닙니다. 다만, 형사처벌을 위해 사용자를 입건하고 수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체불임금 지급을 권유하거나, 사용자의 근로자와의 합의를 통해 체불 임금을 지급받는 호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사업주가 형사처벌에도 불구하고 임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근로자는 민사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목록으로 수정 삭제

    수정 - 비밀번호 확인

    삭제 - 비밀번호 확인

    © 서대문구 노동자종합지원센터

    03628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484 공유캠퍼스(유진상가) 3층 331호

    T . 02-395-0720   F . 02-395-0721    상담전화 02-395-0025    대표메일 sdmworker@sdmworker.org

    03628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484
    공유캠퍼스(유진상가) 3층 331호

    T . 02-395-0720   F . 02-395-0721    상담 02-395-0025
    대표메일 sdmworker@sdmworker.org

    • 로그인
    • 센터 소개
    • 찾아오시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