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은 자신감 있는 목소리로 강하게 말했다 “나 잘해요”
(상담 1) 새벽 4시에 출근한 노인은 5개 층의 병원의 청소를 도맡아 했다. 직원들이 출근하기 전에 청소를 다 마쳤고, 환자들이 싸놓은 매일 30봉지가 넘는 똥기저귀를 치우러 1주 7일 일을 하기도 했다. 그렇게 일하고 최저임금을 받았다.
(상담 2) 또 다른 한 노인은 치킨집에서 하루 12시간씩 치킨을 튀기고, 서빙을 하고, 1주일에 7일을 일을 하기도 했다. 그렇게 일해서 300만원을 겨우 받았다(시급으로 환산하면 최저임금이 안된다). 향간에 떠도는 ‘노인들은 재정적으로 생산성 있는 일을 하지 못한다’는 누명을 쓴 노인들은 억울하다.
나는 공짜 노동 상담을 하고 있다. 간장도 사고, 건강보험료도 내고,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도 하고, 집세에 한 토막 남는 돈으로 노후를 위한 저축을 해야 하니, 한 푼도 안 받는 다는 말은 아니다. 구청에서 노동법과 관련한 상담의 값을 적당히 쳐준다. 만족스럽지 않지만. 나는 내담자에게 돈을 받지 않으니 꼬장꼬장하게 맞는 말을 할 수 있고, 내담자는 돈을 지불하지 않고 보수적인 조언을 들을 접근성을 확보하니 꽤나 괜찮은 상부상조인 셈이다.
(참고로 앞선 두 노인은 불법행위의 피해자가 맞다.)
찾아오거나 전화를 거는 사람들 중 특히 노인이 많다.
10명 중 3-4명은 노인이다. 온라인으로 접촉하기 보다, 전화를 걸거나 직접 찾아온다.
생각보다 일을 하는 노인의 수는 많다.
사진출처 unplash
통계청이 발표한 [2024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수는 362만명으로 전체 노인 인구의 38.3%이다.
고령에 대한 정의는 사회적 활동성이나, 신체 나이, 생에 욕구 등을 기준으로 하기보다 연령을 기준으로 하고, 여러 소득 보장과 정년 등도 연령을 문턱으로 두고 있다. 시간의 흐름을 역전시킬 수 없으니 다 같이 먹는 나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퍽 타당해보인다.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고령자를 만55세 이상으로 두고 있고, 정년은 만 60세 이상으로 정하는 의무규정을 두고 있다. 반면 「노인복지법」에는 만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하고, 한국의 노인 비율은 19.2%이다. 국민 5명 중 1명이 노인(5,133만명 중 973만명이 고령자다)이다. 이러다보니 정년은 통상 만 60세이고, 고용보험가입은 만 65세까지 가능하고, 기초노령연금, 국민연금은 만65세부터 받게 된다. 5년의 공백이 있다.
그럼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이이 취업한 업종을 보면 도소매·음식 숙박업이 13.5%, 서비스 및 기타가 44.2%를 차지한다.
상세히는 병원과 학교 그리고 빌딩 청소를 하고, 아파트에서 경비와 감시 업무를 하고, 요양시설에서 또는 치매노인의 집에서 돌봄을 하고(요양보호사 등), 여러 식당에서 음식을 하는 일을 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 최저임금 수준의 월급이 적은 일, 그리고 단순노무직이라 불리는 묵묵히 매진하는 직종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다.
사진출처 unplash
사진출처 unplash
상담을 하면 닮은 광경 앞에 놓인다.
하루 12시간씩, 1주일에 7일을, 어쩌면 2교대로 쉬지 아파트 작은 휴게공간에서 쪽잠을 자고, 입주하여 치매 어르신을 모시면서도 그 값은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기도 한다.
상담1의 노인은 5년을 넘게 청소를 하고서 어깨가 아프자 뭔가 잘못됐다고 느꼈다고 했다.
상담2의 노인은 치킨집이 문을 닫는다며 차일피일 미룬 월급이 2달 넘자 잘못됐다고 느꼈다고 했다.
그 전까지 이들은 재미있게 일했었다고 말했고, 혹자는 마치 일터에서 5년을 넘게 일하다 보니 내 손이 닿지 않은 곳 없는 내 집처럼 가꾸었다고도 말했다.
사진출처 pixabay
허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는 노인이 바다에서 허기와 소진을 겪으며 청새치와 상어를 만나고 담담하게 바다에서 빈손으로 돌아오는 이야기다.
노인은 오랫동안 물고기를 잡지 못했지만 “노인은 지금껏 희망과 자신감을 버린 적이 없었다.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자 노인의 가슴 밑바닥에서 희망과 자신감이 다시금 솟아올랐다.” 상담을 하며 아무래도 내담자의 인적 특성을 몇 가지 확인하게 된다. 그 중 하나가 직종과 연령대이다.
70이 넘은 한 노인은 자신감이 잔뜩 들어간 강한 목소리로 나는 지금 어떤 일을 하고 있고, 그리고 “나 잘해요”라고 희망차게 이야기했다.
산들바람이 불어왔나보다.
글쓴이
하라노동법률사무소 권남표 공인노무사
노인은 자신감 있는 목소리로 강하게 말했다 “나 잘해요”
(상담 1) 새벽 4시에 출근한 노인은 5개 층의 병원의 청소를 도맡아 했다. 직원들이 출근하기 전에 청소를 다 마쳤고, 환자들이 싸놓은 매일 30봉지가 넘는 똥기저귀를 치우러 1주 7일 일을 하기도 했다. 그렇게 일하고 최저임금을 받았다.
(상담 2) 또 다른 한 노인은 치킨집에서 하루 12시간씩 치킨을 튀기고, 서빙을 하고, 1주일에 7일을 일을 하기도 했다. 그렇게 일해서 300만원을 겨우 받았다(시급으로 환산하면 최저임금이 안된다). 향간에 떠도는 ‘노인들은 재정적으로 생산성 있는 일을 하지 못한다’는 누명을 쓴 노인들은 억울하다.
나는 공짜 노동 상담을 하고 있다. 간장도 사고, 건강보험료도 내고,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도 하고, 집세에 한 토막 남는 돈으로 노후를 위한 저축을 해야 하니, 한 푼도 안 받는 다는 말은 아니다. 구청에서 노동법과 관련한 상담의 값을 적당히 쳐준다. 만족스럽지 않지만. 나는 내담자에게 돈을 받지 않으니 꼬장꼬장하게 맞는 말을 할 수 있고, 내담자는 돈을 지불하지 않고 보수적인 조언을 들을 접근성을 확보하니 꽤나 괜찮은 상부상조인 셈이다.
(참고로 앞선 두 노인은 불법행위의 피해자가 맞다.)
찾아오거나 전화를 거는 사람들 중 특히 노인이 많다.
10명 중 3-4명은 노인이다. 온라인으로 접촉하기 보다, 전화를 걸거나 직접 찾아온다.
생각보다 일을 하는 노인의 수는 많다.
사진출처 unplash
통계청이 발표한 [2024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수는 362만명으로 전체 노인 인구의 38.3%이다.
고령에 대한 정의는 사회적 활동성이나, 신체 나이, 생에 욕구 등을 기준으로 하기보다 연령을 기준으로 하고, 여러 소득 보장과 정년 등도 연령을 문턱으로 두고 있다. 시간의 흐름을 역전시킬 수 없으니 다 같이 먹는 나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은 퍽 타당해보인다.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고령자를 만55세 이상으로 두고 있고, 정년은 만 60세 이상으로 정하는 의무규정을 두고 있다. 반면 「노인복지법」에는 만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하고, 한국의 노인 비율은 19.2%이다. 국민 5명 중 1명이 노인(5,133만명 중 973만명이 고령자다)이다. 이러다보니 정년은 통상 만 60세이고, 고용보험가입은 만 65세까지 가능하고, 기초노령연금, 국민연금은 만65세부터 받게 된다. 5년의 공백이 있다.
그럼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이이 취업한 업종을 보면 도소매·음식 숙박업이 13.5%, 서비스 및 기타가 44.2%를 차지한다.
상세히는 병원과 학교 그리고 빌딩 청소를 하고, 아파트에서 경비와 감시 업무를 하고, 요양시설에서 또는 치매노인의 집에서 돌봄을 하고(요양보호사 등), 여러 식당에서 음식을 하는 일을 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 최저임금 수준의 월급이 적은 일, 그리고 단순노무직이라 불리는 묵묵히 매진하는 직종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다.
사진출처 unplash
사진출처 unplash
상담을 하면 닮은 광경 앞에 놓인다.
하루 12시간씩, 1주일에 7일을, 어쩌면 2교대로 쉬지 아파트 작은 휴게공간에서 쪽잠을 자고, 입주하여 치매 어르신을 모시면서도 그 값은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기도 한다.
상담1의 노인은 5년을 넘게 청소를 하고서 어깨가 아프자 뭔가 잘못됐다고 느꼈다고 했다.
상담2의 노인은 치킨집이 문을 닫는다며 차일피일 미룬 월급이 2달 넘자 잘못됐다고 느꼈다고 했다.
그 전까지 이들은 재미있게 일했었다고 말했고, 혹자는 마치 일터에서 5년을 넘게 일하다 보니 내 손이 닿지 않은 곳 없는 내 집처럼 가꾸었다고도 말했다.
사진출처 pixabay
허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는 노인이 바다에서 허기와 소진을 겪으며 청새치와 상어를 만나고 담담하게 바다에서 빈손으로 돌아오는 이야기다.
노인은 오랫동안 물고기를 잡지 못했지만 “노인은 지금껏 희망과 자신감을 버린 적이 없었다.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자 노인의 가슴 밑바닥에서 희망과 자신감이 다시금 솟아올랐다.” 상담을 하며 아무래도 내담자의 인적 특성을 몇 가지 확인하게 된다. 그 중 하나가 직종과 연령대이다.
70이 넘은 한 노인은 자신감이 잔뜩 들어간 강한 목소리로 나는 지금 어떤 일을 하고 있고, 그리고 “나 잘해요”라고 희망차게 이야기했다.
산들바람이 불어왔나보다.
글쓴이
하라노동법률사무소 권남표 공인노무사